'앗뜨거워'에 해당되는 글 315건
- 2014.06.10 조경 소스
- 2014.06.09 이클립스 오류 : Unhandled event loop exception
- 2014.06.02 자바의 열거형 enum
- 2014.05.28 이클립스에서 클래스명 메소드명 일괄 변경 방법
- 2014.05.26 Tomcat 7, Eclipse를 이용한 디폴트 컨텍스트 설정하기
- 2014.05.25 Request 객체 와 Response 객체
- 2014.05.23 톰캣 한글깨질때 해결방법
- 2014.05.22 이클립스 Context Root 변경 방법
- 2014.05.22 데몬 무료 마지막 버전 DTLite4413-0173
- 2014.05.21 이클립스에서 기존프로젝트 불러오기
1. 이클립스 폴더로 들어가 eclipse.ini 를 킨후 제일 아래에 -XX:MaxPermSize=128M 를 넣어준다
2. 윈도우즈 업데이트
윈도우즈 업데이트하면 해결!
'프로그래밍 > 이클립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클립스에서 .tld 만들기 (0) | 2014.06.25 |
---|---|
이클립스 테마 바꾸기 (0) | 2014.06.24 |
이클립스에서 클래스명 메소드명 일괄 변경 방법 (0) | 2014.05.28 |
이클립스 Context Root 변경 방법 (0) | 2014.05.22 |
이클립스에서 기존프로젝트 불러오기 (0) | 2014.05.21 |
출처 : http://alecture.blogspot.kr/2012/09/enum.html
자바의 열거형(enum)
오늘부터 새로운 기분으로 시작한다는 의미에서 JDK 1.5버젼 이상, 즉 자바 5부터 새롭게 등장한 기능인 enum이란 타입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자바 5 이상의 버젼이 아닐경우 enum이란 키워드를 이용해 클래스나 변수 혹은 메소드를 그 이전에 만든 프로그램에 쓰려면 여러분은 안타깝지만 새로운 버젼에서는 그 소스들을 다 수정해야한다. 물론 강이의 자바강좌로 자바의 시작을 함께한 이들은 필요가 없겠지만 말이다.^^
enum이란 키워드를 처음본 이들도 있을테고 아니면 자바나 그외 언어를 공부해온 이들은 enum 이놈(?)에 대해서 들어는 보았겠지만 아직도 생소하거나 자유자재로 이용을 못하는 이들이 생각보다 많을 것이다. 그 이유는 단 하나! 이제서야 강이의 자바강좌에서 다루기로 했기 때문이다.ㅎㅎ
농담이고 아직까지 enum에 대해서 익숙하지 않은 이들은 이번 필자의 강의를 집중한다면 여러분이 프로그래머로서 배열을 굳이 만들지 않고서도 간단하게 코드를 작성할수 있는 새로운 자바병기(?)를 하나 가지게 될것이다.^^
enum은 그럼 어떨때 쓰는 것이 효과적일까?
일단 enum은 enumeration이라는 영어단어를 짧게 쓴것이라 보인다. 필자의 영어실력을 믿으므로 확인해본바 없으나 아마 그럴것이다.ㅎㅎ 우리말로 뜻이 "열거" 즉 길게 늘어뜨려놓은 형태를 뜻하는데 자바에서는 쉽게 그런 형태의 예로 배열을 떠올릴수 있을 것이다.
enum을 쓰지않아도 코드 짜는것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그런데 이게 왜 등장했냐면 이유는 당연지사 더 편하게 코딩하라고 나온것이다. 프로그램을 만들다보면 배열은 배열인데 이게 우리가 임의로 만들 필요가 없는 아주 당연한 배열의 형태들이 있다. 그 예를 들어보자면, 월요일부터 일요일까지 요일을 쓴다던가, 아니면 위의 그림처럼 화폐의 동전들을 나열한다던가, 그것도 아니면 수금지화목토천해명 같이 행성들을 태양에서부터 차례로 놓기위함이라던지, 이런 식으로 아주 일상적으로 쓰이는 배열 형태들이 있는데 이것을 굳이 배열로 다 정의하려면 시간도 오래걸리고 코드도 상당히 복잡해 보일 것인데 이런 상황에 enum이란 키워드를 쓰면 시간도 시간이지만 그 효율성과 강력한 기능의 이놈(?)을 굳이 두고 어려운 길을 갈 필요는 없을 것이다.ㅎㅎ
그럼 본격적으로 enum을 어떻게 쓰는지 공부해 보기로 하겠다. 그전에 한마디 덧붙이자면, enum을 공부하다가 지친 이들은 용어의 생소함과 더불어 복잡한 이론에 공부하다 지친 이들이 의외로 많을 것인데 그런 이들은 오늘 이 강의로 말미암아 어려운 설명없이도 그동안의 궁금증을 말끔히 씻어주도록 필자가 핵심중의 핵심만 찌르고 나머지는 모두 짤라버리는 초특급 핵심강의를 펼치려하니 이제부터 정신을 한곳에 모아주기 바란다.^^
뭐 대단한 걸 기대하고 있을지 모르는 이들에게는 김이 빠질지 모르겠지만 오늘도 아니나 다를까 딴거 다 필요없고 필자의 예제 하나만 보면 그동안 이해안되었던 모든 의문들이 눈녹듯이 사라질 것이고 새로 배우는 이들은 별거없어 손가락만 빠는 사태가 즐비할지 모르는 황당한 사태가 벌어질 것을 알면서도 필자의 공력을 아낌없이 쏟아부은 예제를 아래에 공개하노니 모두 눈깔빠지도록 쳐다보면서 직접 타이핑해 보기 바란다.ㅎㅎ
강이의 자바강좌 본 예제의 결과값은 아래와 같다.
Today is Monday.
Today is not Monday.
Weekday is Monday to Friday.
NICKLE
5
5
enum을 조금 공부해본 이들이라면 예제를 보면 필자의 설명없이도 저절로 이해가 될정도로 소스를 아주 쉽게 구성하였으나 처음 본 이들은 조금 주춤할지 모르나 필자가 여기에 조금만 강의양념을 쳐주면 역시 별거없다는 것을 깨닫게 될것이다. 그럼 지금부터 예제 설명에 들어가보기로 하겠다.
지금 프로그램을 보면 enum을 이용해서 만든 것이 크게 2가지가 있다. 하나는 Day 열거형이고 또 다른 하나는 Currency 열거형이다. 내용은 안에 보다시피 하나는 일요일~토요일에 관한 요일을 열거한 것이고 또 다른 하나는 화폐통화중 동전들 페니부터~쿼터까지 모아놓은 것이다. 우리나라의 동전 10원, 50원, 100원, 500원처럼 외국에서는 동전이 1센트(페니), 5센트(니컬), 10센트(다임), 25센트(쿼터)라 하는데 그걸 쓴것이다. 우리나라 동전으로 예제를 만들까 하다가 이럴때라도 외국물(?) 먹어보자고 필자가 특별히 외국화폐를 가져왔다.ㅎㅎ
자 일단,
enum Day {SUNDAY,MONDAY,TUESDAY,WEDNESDAY,THURSDAY,FRIDAY,SATURDAY}
를 열거하였는데 이렇게 static final 상수처럼 enum '이름'을 넣어 관련항목을 위처럼 열거해서 써먹을수가 있다. 그밑에 있는 check 메소드는 필자가 그냥 간단히 오늘이 월요일인지 아닌지를 확인하는 간단한 예를 if~else 구문을 활용해 돌려본 것뿐이다.
그럼 다음으로,
enum Currency를 들수 있는데 enum 이넘이 매력적인 이유중 하나가 위처럼 단순 열거에 그치지 않고 이렇게 이놈안에 메소드나 필드를 정의해서 쓸수가 있는데 이넘이 클래스나 객체로서도 강력한 성능을 발휘하는 것과 동전에서 보듯이 이처럼 물건의 의미가 바로 수치랑 연결되는 것들이 있을때 바로 예제처럼 수치까지 적용해서 써먹을수 있는 기능이 또한 매력적이다.
지금 enum Currency에서는 value 변수를 이용한 생성자가 들어가 있는데 동전이 어떤 것이냐에 따라 그 값어치 즉 화폐단위를 바로 인식하도록 만든 것이다. 만약 PENNY(1) 이런식으로 쓰지 못하였다면 이것을 일일히 변수를 만들어 값을 하나하나 대입해야하는 번거로운 소스를 만들어야할 것이나 이넘(?) 덕분에 그 수고를 한번에 덜수 있었다 하겠다^^
여러분이 지금 필자가 무슨 말하는지 이해가 잘 안되고 있을텐데 그건 당연한 것이다. 지금 필자는 이미 메인메소드의 내용을 알면서 설명을 하는 것이고 여러분은 아직 메인메소드 내용을 잘 모르는 상태로 설명을 듣고 있으니 이해가 잘 안되는 것은 당연하다. 그런데 왜 이렇게 먼저 설명부터 하냐고? 메인메소드를 지금부터 필자의 설명과 함께 보다보면 그 이유를 끝에 알게 될것이다.ㅎㅎ
자 그럼 무엇을 테스트해 보려하는지 메인메소드의 내용을 보기로 하자.
일단 첫째줄에
Day today=Day.MONDAY;
라고 썼는데 말그대로 오늘이 월요일이라고 알려준 것이다.
여기서 알수 있는 것은 enum은 굳이 new라는 키워드를 이용해 레퍼런스로 접근하지 않고 바로 써먹을수 있다는 것이다. 그런 까닭에 check 메소드에 static을 쓴것인데 이 부분에 대해서는 그냥 넘겨도되고 궁금해서 못참겠거든 필자의 예전 static에 관련된 강의를 검색해서 찾아보기 바란다. 그럼 다시 돌아와서 다음줄을 보자
check(today);
오늘이 무슨 요일인지 체크해보라는 명령이다.
아까 오늘이 월요일이라고 알려줬으니 당연히
Today is Monday. 라는 값이 나와야 할것이다.
그 다음에는 토요일이냐고 물어봤으니
월요일이 아니라는 답이 나온 것이고
그 밑에 스위치문에는 오늘이 월요일이니
월요일은 case에 해당이 없으므로 default 구문의 값이 찍히는 것이다.
자 그럼 이제 Currency에 관련된 enum 구문을 테스트해 보기로 하자.
Currency coin=Currency.NICKLE;
즉 coin이 5센트짜리 니컬이라고 정의해 주었다.
그럼 다음줄에 무슨 동전 들고있는지 찍어보라고 아래 명령을 줬더니
System.out.println(coin);
NICKLE이라고 찍힌 것이고
다음줄에 coin.value를 찍으라고 했는데
이게 생성자를 이용해 동전에 따라 수치를 나타내라고 한것이니
결과값에 보는 것처럼 숫자 5가 찍혔으니 enum의 강력한 힘(?)이
제대로 발휘하고 있다고 느낄수 있다.
그 다음줄은 똑같은 명령인데
그렇게 바로 지정해서 쓸수 있다는 것도 보여줄겸 적었을 뿐이다.
뭐 거창한 프로그램 같은데 벌써 끝나버렸다.ㅎㅎ 예제에서 스위치 구문을 메인메소드 안에 바로 썼는데 사실 이건 좋은 예가 아니나 바로 이해가능하도록 핵심사항을 여러분께 바로 전달하기 위해 긴급조치한 부분이니 이점 양해하기 바란다.^ 아까 초반에 필자의 설명이 잘 이해되지 않은 이들도 지금 다시 보면 술술 모든 의문이 다 풀릴 것이다. 필자가 이 한 예제에 두개의 enum 구문을 넣어 이렇게도 저렇게도 쓸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 이곳에선 아주 귀한 일석이조(一石二鳥) 자바공법(?)을 불어넣은 예제이니 확실히 복습해서 몽땅 자기걸로 만들기 바란다.^^
'프로그래밍 > JAVA 프로그래밍 초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바] 한글 인코딩 파일 입출력 처리 (0) | 2014.06.25 |
---|---|
자바(Java) JFrame 에서 RGB컬러로 백그라운드(BackGround) 사용하기 (0) | 2014.06.16 |
Java 에서 Int와 String 서로 상호 변환 방법 (0) | 2014.06.12 |
java 문자열 뒤에서 부터 추출하기 (엑셀의 Right 함수 비슷하게 야메 방법,JAVA RIGHT 함수) (0) | 2014.05.16 |
Java 문자열 추출 방법 (0) | 2014.05.15 |
이렇게 바꾸고 싶은 곳에 클릭을하면 색이 변하는데
오른쪽 버튼 → refactor → rename
적용되는 지점에 네모모양이 생기는데
이름을 수정하면 일괄로 변경된다
'프로그래밍 > 이클립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클립스에서 .tld 만들기 (0) | 2014.06.25 |
---|---|
이클립스 테마 바꾸기 (0) | 2014.06.24 |
이클립스 오류 : Unhandled event loop exception (0) | 2014.06.09 |
이클립스 Context Root 변경 방법 (0) | 2014.05.22 |
이클립스에서 기존프로젝트 불러오기 (0) | 2014.05.21 |
출처 : http://micropilot.tistory.com/2194
Eclipse 에서 Tomcat을 연동하여 작업할 때 프로젝트명이 톰캣에서는 하나의 컨텍스트가 되어 접속할 URL의 일부로 포함된다.
예를 들어, Eclipse의 웹프로젝트 이름이 HelloWeb 이라는 이름을 가진 경우에는 개발중인 웹사이트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HelloWeb이라는 단어가 접속 URL에 포함되어 http://localhost:8080/HelloWeb/test.jsp 와 같이 접속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HelloWeb 이라는 단어는 프로젝트 이름으로는 적당할지 모르지만 실제 웹사이트가 서버에 배포되어 사용될 때는 의미가 없게 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접속 URL에서 HelloWeb 이라는 단어를 제외하고 http://localhost:8080/test.jsp 처럼 접속이 되도록 설정할 필요가 있게 된다.
Eclipse에서 개발중인 프로젝트를 디폴트 컨텍스트로 설정하면 접속 URL에서 프로젝트 이름이 사라지게 할 수 있다
테스트 환경
- JDK 1.7
- Tomcat 7.0
- Eclipse Kepler
- Windows XP
Eclipse 프로젝트 이름이 URL에 포함되지 않게 하려면 server.xml 에서 약간의 편집을 하면 된다
Server / Service / Engine / Host / Context 요소를 찾아서 최종적으로 Context 노드를 확장하면 docBase와 path 항목 둘다 HelloWeb으로 설정된 것을 볼 수 있다. 그 중에서 path 항목의 값으로 설정된 HelloWeb을 지우고 슬래시 기호(/)만 남겨둔다 편집한 내용을 저장하고 다시 톰캣을 시동하고 다음과 같은 URL으로 접속해본다
http://localhost:8080/index.jsp 혹은 http://localhost:8080/
위의 설정으로 Eclipse의 웹프로젝트 이름은 접속을 위한 URL에서 제외가 되었다.
이제 또 한가지 설정은 접속을 위한 URL에서 8080과 같은 접속 포트번호를 제외하는 것이다.
이것은 Tomcat의 접속 포트번호 8080을 웹서버의 디폴트 포트번호인 80으로 설정해주면 해결된다
위에서 편집했던 server.xml 파일을 더블클릭하여 에디터 창에 내용을 열고 아래의 그림과 같이 포트번호가 8080으로 설정된 곳을 찾아서 80으로 변경해주면 된다.
위와 같이 설정했다면 HelloWeb의 index.jsp 에 접속하는 URL은 다음과 같을 것이다
http://localhost/index.jsp 혹은 http://localhost/
위의 URL을 맨 처음의 것과 비교해보면 많이 간결해진 것을 알 수 있다. 프로젝트 이름과 포트번호가 URL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이다.
끝으로 설명할 한가지 내용은 공식적인 도메인 등록기관에 등록된 도메인에 나의 사무실에 있는 컴퓨터를 연결하는 작업이다.
다시 말하자면, 웹브라우저의 주소창에 도메인을 입력하고 엔터를 치면 나의 사무실에 있는 컴퓨터의 웹서버에 접속되게 하는 것이다.
사무실에 있는 컴퓨터는 고정 아이피가 배정된 컴퓨터라면 도메인 등록기관에 접속하여 해당 도메인의 호스트관리 페이지로 이동하여 도메인에 연결된 호스트명을 나의 사무실에 있는 컴퓨터의 고정 아이피를 등록해주면 된다.
도메인 등록기관에 따라 관리하는 방법이 조금씩 다르지만 개념은 동일하다
그러므로 사무실에 앞에서 설정했던 HelloWeb이 실행되고 있는 컴퓨터가 있고 그 컴퓨터의 아이피 주소가 123.123.123.123 이라면 이 아이피 주소를 도메인 등록기관에 접속하여 관리하는 도메인의 호스트관리 페이지로 이동하여 도메인에 연결될 호스트의 아이피 주소로 등록하면 된다. 이렇게 설정하면 어디서든지 웹브라우저의 주소창에 해당 도메인을 입력하면 나의 사무실에 있는 컴퓨터의 웹서버로 요청이 들어오고 응답하게 되는 것이다.
아이피 주소를 연결한 후에는 짧게는 몇시간에서 며칠의 시간이 지나야 효과를 보게 되지만 처음 등록한 도메인의 경우에는 한시간 정도 지나서 연결되는 경우도 있으니 급한 경우에는 자주 접속해서 연결되는지 확인해 보는 것도 좋겠다.
'프로그래밍 > 톰캣'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cafe24 톰캣 재시작 (0) | 2014.09.09 |
---|---|
Tomcat 7.0 에서 JNDI DataSource 설정 (0) | 2014.08.14 |
톰캣 한글깨질때 해결방법 (0) | 2014.05.23 |
톰캣 이클립스 플러그인 설치 (0) | 2014.05.21 |
톰캣 설정 _2번째 (0) | 2014.05.21 |
1. Request 객체
클라이언트에서 어떤 페이지를 요청하면 서버로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데, 이렇게 전송된
데이터가 저장되는 곳이 바로 Request 객체이다. 사용자가 브라우저를 통해 서버에게 어떤 요구를 하면 Request 객체는 이때 사용자의
브라우저 정보나 입력한 값 등의 정보를 갖게 된다.
사용형식>
Request.[컬렉션 | 속성 |
메소드]("변수")
예) Request.QueryString("strID")
Request.Cookies("Login")
Request.ServerVariables("SERVER_NAME")
(1) ClientCertificate 컬렉션 - 클라이언트가
전송한 인증서
형식> Request.ClientCertificate (키)
예> Request.ClientCertificate (member)
(2) Cookies 컬렉션 - 클라이언트가 전송한 쿠키값
쿠키는 사용자의 시스템에 간단한 정보를 저장하여 필요할 때마다 해당 정보를 읽어오려고 한다.
(쿠키를 사용하는 주된 원인은 간단한 정보를 클라이언트에 저장함으로써 서버의 부하를 크게 줄일 수 있다.)
형식> Request.Cookies (쿠키변수) [(하위쿠키 변수) | .속성 ]
예> Request.Cookies (strLog)
Request.Cookies (strLog) (strSubLog)
(3) From 컬렉션 - 클라이언트가 전송한 폼 요소
서버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방법은 get, post 두 가지 방식이 있다. get 방식은 QueryString 컬렉션이 해당 데이터를 받고 post 방식은 Form 컬렉션이 해당 데이터를 받는다.
전달할 데이터를 입력하려고 <Form> 태그를 다음과 같이 사용한다.
<Form Method = "post" Action = "웹페이지" >
태그를 해석하면 사용자가 서버로 전달하고자 입력한 데이터를 post 방식으로 전송하고 지정한 웹페이지에서 데이터를 처리한다는 것을 뜻한다. 처리된 데이터는 Form 컬렉션에 저장되는데 이러한 값을 읽으려면 Form 컬렉션을 사용해야 한다.
형식> Request.Form (변수)
예> Request.Form ("strID")
Request.Form ("strPWD")
<Form>태그는 사용자가 입력한 값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형식> <Form Method="전송방식" Action="값을 전달 받을 URL" Enctype = "인코딩할 폼 데이터의 타입 지정" Target = "출력될 창의 이름" >
<INPUT>태그는 입력받을 곳을 생성한다.
형식><INPUT Type = "입력형태" name = "이름" Value = "값">
(4) QueryString 컬렉션 - HTTP 질의 문자열에 있는 변수 값
Form 컬렉션이 post 방식으로 전송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이라면 QueryString 컬렉션은 get 방식으로 전송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Form 컬렉션과 QueryString 컬렉션의 사용법은 비슷하다.
형식>Request.QueryString (변수)
예> Request.QueryString("strID")
Request.QueryString("strPWD")
입력폼 만들기
형식><Form Method = "get" Action = "웹페이지">
<INPUT>태그는 post 방식과 동일
(5) ServerVariables 컬렉션 - HTTP와 환경 변수 값
ServerVariables 컬렉션에 기본적인 사용자가 서버로 전송한 정보들이 저장되어 있다.
형식> Request.ServerVariables (서버환경변수)
예> Request.ServerVariables (strKey)
Request.ServerVariables ("HTTP_USER_AGENT")
(6) TotalByte 속성 - 클라이언트가 전송한 총 바이트 수
사용형식> Request.TotalBytes
2. Response 객체
사용자가 어떤 요청을 하였을 때 서버가 이에 응답을 보내려고 Response 객체를 사용한다.
형식>Response.[컬렉션 | 속성 | 메소드]
예> Response.Redirect "From.htm"
Response.Cookies ("MemberInfo")
Response.Write "HELLOASP"
(1) Cookies 컬렉션 - 보내지는 쿠기값
Response 객체에서는 Cookies 컬렉션을 사용하여 해당 값을 기억하려고 사용한다.
형식>Resposne.Cookies(쿠키 변수)[(하위 쿠키 변수) | .속성] = 쿠키 값
예> Response.Cookies("MemberInfo")("strName") = "홍길동"
Response.Cookies("MemberInfo").Expires = "May 5, 2006"
(2) Buffer 속성 - ASP의 결과가 완성될 때까지 캐시 할 것인지를 지정
Buffer 속성은 버퍼에 저장할 것인지 안 할 것 인지를 지정하는 속성
Buffer의 값을 'TRUE'로 값을 지정할 때에는 사용자가 요청한 결과를 처리할 때 해당 페이지가 완성될 때까지 또는 Flush나 End 메소드가 호출될 때 까지 해당 결과를 전송하지 않는다. 'FALSE'로 값을 지정할 때에는 결과 페이지를 저장하지 않고 즉시 클라이언트로 전송한다.
(3) CacheControl 속성 - Content Type 헤더에 문자 집합 이름 추가
서버와 사용자 사이에는 페이지 응답 시간을 단축시키려고 해당 웹 페이지를 캐시ㅣ하도록 구성되는 프록시 서버가 있다. 이러한 프록시 서버가 ASP의 결과를 캐시할 것인지에 대한 지정하는 속성이다.
형식>Response.CacheControl [=Cache Control Header]
(4) ContentType 속성 - HTTP 컨텐츠 형식 지정
서버가 사용자에게 파일을 보낼때에 해당 파일의 타입을 지정한다. 이렇게 콘텐츠 형식을 지정함으로써 사용자의 브라우저에 자체적으로 출력할 것인지 아니면 다른 응용 프로그램을 호출할 것인지를 결정하게 된다.
기본 값은 'text/html' 이다.
형식>Response.ContentType [=콘텐츠 형식]
예> Response.ContentType = "image/GIF"
Response.ContentType = "image/JPEG"
(5) Expires 속성 - 캐시된 페이지의 만료기간 지정
브라우저에 캐시된 페이지의 만료 기간을 지정하는 역할을 한다. 페이지가 만료되기 전에 같은 페이지가 호출되면 캐시된 페이지가 출력된다.
형식>Response.Expires = "May 5, 2006"
예> Response.Expires = 0
일반적으로 Expires의 값에는 날짜를 적어주지만 0이나 -1 등을 사용해서도 값을 지정할 수 있다. 만약에 해당 값을 0으로 지정하면 브라우저에서 ASP 페이지가 캐싱하지 못하게 되며 -1 등의 음수로 값을 지정했을 때에는 응답이 즉시 만료가 된다.
(6) ExpiresAbsolute 속성 - 캐시된 페이지의 만료 날짜와 시간 지정
브라우저에 캐시된 페이지의 만료 기간을 지정하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차이점이 있다면 Expiresabsolute 속성은 날짜 이외에 시간까지 지정할 수 있다.
형식>Response.ExpiresAbsolute [= [날짜] [시간] ]
예> Response.ExpiresAbsolute =#May 5, 2006 12:30:30#
날짜형식은 #과 # 사이에 값을 넣어 나타낸다.
(7) IsClientConnected 속성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연결되었는지 아니면 끊었는지를 알려주는 속성이다.
형식>Response.IsClientConnected()
(8) Redirect 메소드
사용자가 서버에 웹 페이지를 요청하면 일반적으로 해당 웹 페이지를 전송한다. 하지만 Redirect 메소드를 사용하면 웹페이지 대신 지정한 URL로 이동시킬 수 있다.
형식>Response.Redirect URL
예> Response.Redirect "Login.htm"
Response.Redirect "Form.htm"
첫번째 방법 (Get 방식으로 전달할때)
톰캣 server.xml 안에
<Connector port="8080" protocol="HTTP/1.1"
connectionTimeout="20000"
redirectPort="8443" />
에다가
useBodyEncodingForURI="true" URIEncoding="EUC-KR" 를 추가
결론은
<Connector port="8080" protocol="HTTP/1.1"
connectionTimeout="20000"
redirectPort="8443" useBodyEncodingForURI="true" URIEncoding="EUC-KR" />
두번째방법 (Post 방식일때)
Servlet 받는곳 doGet 이나 doPost 에
response.setContentType("text/html; charset=KSC5601");
request.setCharacterEncoding("KSC5601"); 를 넣어주고
if(request.getMethod().equalsIgnoreCase("get"))
{
name=myclasses.StringUtil.toHangul(name);
email=myclasses.StringUtil.toHangul(email);
}
로 연결 시켜줌 java파일을 연결
'프로그래밍 > 톰캣' 카테고리의 다른 글
Tomcat 7.0 에서 JNDI DataSource 설정 (0) | 2014.08.14 |
---|---|
Tomcat 7, Eclipse를 이용한 디폴트 컨텍스트 설정하기 (0) | 2014.05.26 |
톰캣 이클립스 플러그인 설치 (0) | 2014.05.21 |
톰캣 설정 _2번째 (0) | 2014.05.21 |
톰캣 포트 충돌시 포트변경 (0) | 2014.05.21 |
- Project Explorer 뷰 - Project 선택 - Properties
- Web Project Settings - Context root 를 / 로 변경
- 메뉴 - Project - Clean
- Servers 뷰에서 tomcat 선택, + 펼침, 해당 프로젝트 선택 후 삭제
- Servers 뷰에서 tomcat 선택 - 마우스 우클릭, Clean
- Servers 뷰에서 tomcat 선택 - 마우스 우클릭, Add and Remove
- 해당 프로젝트 선택후 Add
'프로그래밍 > 이클립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클립스에서 .tld 만들기 (0) | 2014.06.25 |
---|---|
이클립스 테마 바꾸기 (0) | 2014.06.24 |
이클립스 오류 : Unhandled event loop exception (0) | 2014.06.09 |
이클립스에서 클래스명 메소드명 일괄 변경 방법 (0) | 2014.05.28 |
이클립스에서 기존프로젝트 불러오기 (0) | 2014.05.21 |
'유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분할인쇄 프로그램 SplitPrint v1.0 (0) | 2015.03.16 |
---|
File > Import 를 누르면 select 창이 하나 뜬다,
그러면
Existing Progects into Workspace 를 누르고,
해당 프로젝트가 있는 디렉토리를 선택후
가져올 프로젝트를 선택한다
추가로,
맨 밑에 Copy projects into workspace 체크박스를 체크하면
현재 내가 사용하고 있는 workspace 밑에 프로젝트가 복사되어온다
'프로그래밍 > 이클립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클립스에서 .tld 만들기 (0) | 2014.06.25 |
---|---|
이클립스 테마 바꾸기 (0) | 2014.06.24 |
이클립스 오류 : Unhandled event loop exception (0) | 2014.06.09 |
이클립스에서 클래스명 메소드명 일괄 변경 방법 (0) | 2014.05.28 |
이클립스 Context Root 변경 방법 (0) | 2014.05.22 |